중소기업청이 중소벤처기업부로 승격 하면서 2018년 R&D예산도 크게 증가 됐는데요, 2017년 9,601억원 이였던 R&D예산이 1조 917억으로 증가 하면서 처음으로 1조원을 넘어섰습니다.
그만큼 중소기업들이 정부 자금을을 통해 R&D를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졌다고 볼 수 있는데요, 하늘을 봐야 별을 딸 수 있다는 옛 말이 있듯이 R&D자금을 받기 위한 핵심 포인트는 무엇인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2018년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사업 통합 공고 파일은 아래 첨부파일에서 다운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171226+2018년도+중소기업+기술개발+지원사업+통합+공고문(웹게시).hwp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주관하는 올해 R&D사업은 총 13개 분야입니다.
가장 관심이 있고, 다수의 성공 사례가 있기 때문에 자신 있는 사업을 파란색으로 표시해두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중소기업이 받기에 가장 무난한 사업이라고 판단합니다.
예산도 크게 증가되었기 때문에 작년에 선정에 실패한 기업들도 올해는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 됩니다.
그럼 올해 주요 개선 내용을 살펴볼까요.
1. 일자리 창출 중심 R&D 제도개선
일자리 창출은 언제나 R&D사업의 중요한 핵심 목표입니다. 국가가 중소기업의 알엔디를 지원해주는 핵심 목표중에 하나인데요, 특히 올해부터 시행되는 일자리 안정자금 수혜기업은 R&D사업에서도 우대를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고용창출, 성과공유, 근로 환경 개선 등의 실적 및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하는 기업은 선정시 반영한다고 하니, 사업계획서 작성시 이부분이 반드시 들어가야 하겠네요.
2. 창의 도전적 R&D 지원
누구나 개발할 수 있고 이미 개발된 제품이나 기술은 큰 의미가 없게죠? 특히 올해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3대 전략 분야 및 15대 핵심기술을 집중 지원해준다고 합니다.
자세한 전략분야 및 핵심기술은 중소기업기술로드맵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내용이 많기 때문에 다음 포스팅에서 하는 걸로...)
특히 올해는 창업기업 전용 예산이 38%나 증액 되었습니다(2017년 1,976억원 -> 2018년 2,727억원) 창업기업을 지원하고자 하는 의지가 여기서도 보이네요.
3. 수요자 맞춤형 R&D
작년부터 시도가 있었지만 올해도 역시 수요자 맞춤형으로 R&D를 개선한다고 합니다. 꾸준히 문제로 제기 되었던 평가기간.... 신청부터 선정까지 5개월이 넘는 대장정 속에서 사장님들과 대표님들이 너무 힘들었었죠. 5개월 동안 평가 질질끌다가 탈락 해버리면 그 허무함이란, 올해는 다행이 평가기간을 3개월로 단축되기 때문에 스트레스도 덜 받고 빨리 다른 사업에 참가할 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이정도가 올해 사업의 특징이라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사업공고는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에서 공지 되기 때문에 1주일에 한 두 번은 접속해서 확인 하셔야 놓치지 않고 지원할 수 있습니다.
R&D지원사업은 무담보, 무보증, 무상환 자금으로 지원금 중에서 가히 최고라 할 수 있는데요, 사업공고 확인부터 아이템 기획, 사업계획서 작성, 제출 서류 준비 등 일반 중소기업은 버거울 수 있는데요. 혼자 준비하는 것 보다 경험있는 사람과 같이 준비하면 훨씬 성공확률도 높고 신청 및 준비도 편하겠죠?
저는 다수의 중소기업 대표님들과 R&D사업 및 사업화지원사업을 같이 하면서 기업이 겪는 실질적인 고민과 어려움을 극복하며 보람을 느끼고 있고, 소중한 인생의 경험을 쌓고자 합니다.
JD경영컨설팅으로 문의 주시면 저렴한 가격과 조건으로 R&D지원사업에 도전해 보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JD경영컨설팅 : https://www.jdmgtconsult.com/
감사합니다.
공감과 댓글은 블로거에게 큰 힘이 됩니다.
'경영정보 > 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억의 기회!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지금 도전하세요! (0) | 2018.01.15 |
---|---|
R&D 지원사업 서류평가 탈락 6가지 이유 (0) | 2018.01.08 |
중소벤처기업부 R&D일정 한번에 확인 가능한 곳은 (0) | 2017.08.21 |
국내 크라우드펀딩 할 수 있는곳 와디즈 (0) | 2017.03.22 |
중소기업진흥공단 지원 절차 (0) | 2017.02.05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