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은 국내 가장 큰 시중은행중 하나로써, 2015년 구 하나은행과 한국 외환은행이 통합해서 만들어진 은행입니다. 예전 하나은행의 로고를 그대로 하용하고 마스코드들도 그대로 사용했기 때문에 하나은행과 외환은행 통합 전 모습의 구 하나은행과 외형적인 모습은 거의 비슷합니다.
하나은행 인터넷 뱅킹 바로가기 https://www.kebhana.com/
하나은행
www.kebhana.com
하나은행 인터넷 뱅킹으로 바로 이동합니다.
하나은행 인터넷 뱅킹 이용방법 및 특징.
하나은행 공식 홈페이지 메인의 모습입니다. 하나은행의 인터넷 뱅킹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공인인증서를 통한 로그인이 필수로 요구됩니다.
하나은행에서 발급받은 공동 인증서(과거 공인인증서)를 통해 로그인을 하거나, 만약 다른 은행에서 발급받은 공동 인증서나 금융인증서가 있다고 한다면, 하나은행의 인증센터를 통해 등록 후 하나은행의 인터넷 뱅킹 이용이 가능합니다.
하나은행 인증센터 메인은 하나은행 공식 홈페이지 상단의 인증센터 탭을 통해 이동 가능합니다. 하나은행 인증센터 메인 접속 후 인증서의 신규 발급 및 재발급이 가능하며, 하나은행에서 발급받은 공인인증서의 인증서 갱신도 가능합니다.
타 은행에서 발급받은 공동 인증서나 금융인증서의 등록도 가능하고, 이미 발급받은 인증서를 스마트폰으로 내보내거나 스마트폰에 있는 인증서를 PC로 가져오는 업무도 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하실 부분은 보안을 위하여 하나은행 인터넷 뱅킹 이용 시 상단에 보이는 인터넷 주소창의 자물쇠 이미지가 있는지 확인하는 게 해킹이나 유사 사이트의 예방으로 좋습니다. 또한 자물쇠카드 번호를 모두 입력을 요구하는 경우는 절대로 입력하시면 안 됩니다. 비밀번호도 최소 3개월에 한 번씩은 변경을 하도록 하고 공인인증서는 여러 명이서 공용으로 사용하는 PC나 저장매체에는 저장하지 않도록 합니다.
공인인증서로 하나은행 인터넷 뱅킹에 접속 후 계좌조회, 계좌이체, 공과급 납부, 오픈 뱅킹, 환전 등의 업무를 할 수 있습니다. 계좌 조회나 이체의 업무를 많이 하겠지만, 하나은행은 앞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외한은행과 통합된 은행으로, 외환 업무에 특화된 특징이 있어서 환전 지갑을 활용한 환전이나, 외환 예금의 목적으로 많이 이용하는 은행입니다.
하나은행에서 환전을 하면 최대 90%의 환전을 받을 수 있으며, 전국 하나은행 지점에서 당일 수령할 수 있습니다. 해외여행을 갈 때 공항에서 환전하면 환전 우대가 거의 없기 때문에 미리 은행에서 환전을 하고 찾으면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하나은행 인터넷 환전과 외환 지갑 및 외화예금을 통해 환차익 투자를 고려해볼 수도 있습니다.
'생활정보 >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체국 택배 접수 바로가기 https://parcel.epost.go.kr/ (0) | 2021.10.05 |
---|---|
워크넷 바로가기 WORK NET https://www.work.go.kr/ (0) | 2021.10.04 |
신한은행 인터넷뱅킹 바로가기 https://www.shinhan.com/ (2) | 2021.10.01 |
브이 라이브 V LIVE 브이앱 바로가기 https://www.vlive.tv/ (0) | 2021.09.30 |
국민은행 인터넷뱅킹 바로가기 https://www.kbstar.com/ (0) | 2021.09.29 |
최근댓글